일단 타이틀이 마음에 들었다 꽃들의 집이라니 아름다운것들이 나올것 같은 제목이다
인트로도 나쁘지 않았다 오색찬란한 색감이 주를 이루는 영상이 익숙하지 않은 언어임에도 흥미를 끌었다
멕시코 코미디장르의 드라마로 편안하게 볼수 있을거라 생각했고 실제로 반은 맞고 반은 틀렸던것 같다
제작자 마놀로 카로
출연 세실리아 수아레스, 아이슬린 데르베스, 다리오 야스베크, 베로니카 카스트로, 후안 파블로 메디나,
아르투로 비오르, 파코 레온, 노르마 앙헬리카, 베로니카 랑게르, 다비드 오소트로스키, 마리아나 트레비뇨,
루이스 데 라 로사, 이사벨 부르, 나타샤 두페이론, 루카스 벨라스카스, 알렉사 데 란다
장르 멕시코 TV시리즈, TV드라마, TV프로그램 코미디
프로그램 특징 관능적
관람등급 청소년관람불가
이 어둡고 유머러스한 코미디 시리즈는 가족이 운영하는 꽃사업의 외형적 완벽함 뒤에
비밀로 가득찬 어둠을 숨겨두고 있다
겉보기엔 완벽한 데 라 모라 가족은 꽃들의 집이라는 가족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곳에서
아버지 에르네스토의 생일파티중 꽃들의 집에서 자살사건이 벌어지면서 시작한다
그것은 에르네스토의 정부 로베르타의 깜짝 계획으로 데 라 모라가족에게 큰 혼란을 주기 위해
그의 이름으로 큰 대출을 받은후 데 라 모라 가족의 가장 완벽하고 즐거워야 하는 시간을 망쳐놓게 되는데
제일 먼저 발견한 장녀 파울리나는 놀란마음도 잠시, 늘 그래왔다는듯 뒷수습을 하기에 나섰고
뒤늦게 발견한 두 동생들은 사망한 여자가 누구 인지 몰랐으나
알고보니 파울리나는 19살때부터 아버지의 정부를 알고 있었고
그녀와 아버지의 뒷수습을 해주는 상황이었다 그 사실을 알게된 엄마 비르히니아는
큰 배신감을 느껴 꽃들의 집을 장녀에게 물려주지 않겠다 으름장을 놓고
약혼자를 소개하기위해 미국에서 날아온 둘째 엘레나는 가족들이 흑인인 약혼자를
인정하지 않아 속상해 하지만 이 기회에 엘레나에게 꽃들의 집을 운영할것을 권유받으면서
미국으로 돌아갈지 고향에 정착할지를 고민하게 된다
또 막내 훌리안은 보수적인 멕시코 사회에 성소수자로서 보여주기 위해 만나는 여자친구와 헤어지고
데 라 모라 가족사업체의 재정담당자 디에고와 연인임을 밝히고 싶지만 겁많은 훌리안은
디에고에게 상처주지 않고 가족에게 자신의 비밀을 밝힐 궁리를 한다
3남매와 비르히니아, 에르네스토, 로베르타 그리고 혼외자식 미카엘라까지
어머니는 남편의 배신과 재정문제를, 아버지는 숨겨놓았던 또다른 꽃들의 집의 운영과
수감생활을, 자꾸만 거짓말하는 가족들때문에 진절머리가 나는 미카엘라
각자 저마다의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완벽해보이지만 어느 가족보다 문제덩어리가 많은 가족.
이들의 웃기지만 본인들은 웃을수 없는 블랙코미디라고 할까
포스팅을 위해 구글서치중 재밌는걸 찾았다
나도 의문이 들었던 부분인데 "장녀 파울리나는 꽃들의 집에서 왜 그렇게 말합니까? " 이 질문글을 보고
빵 터질수밖에 없었다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게 아니었나보다
작품중에서 배우들이 쓰는 언어는 스페인어인데 스페인어를 모르는 내가 듣기에도
유독 파울리나의 말투가 독특하다고 느껴졌는데 유독 느리고 맹해보이면서 이상하게 강조하는 악센트가
다른 시청자들에게도 부자연스러운 억양이긴 했나보다
그렇다고 한다 .. 약물중독이라는 이유가 있었다니 작중에는 파울리나가 약을 하거나
무언가에 취해보이는 장면은 하나도 보이지 않아 이유있는 말투인지도 몰랐던거다
하지만 파울리나의 말투가 거슬리지 않고 매력있게 들렸기 때문에 난 좋았다
참고로 자낙스는 마약은 아니지만 마약으로 관리되는 알프라졸람 성분으로
불안 완화, 진정, 수면 장애 완화, 항경련작용, 근육 이완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향정신성의 신경안정제라고 한다
시즌1은 자살소동으로 드러난 가족들의 문제들이었다면 시즌2는 장례식후 복수를 준비하는 모습,
시즌3는 어머니 비르히니아의 현재와는 다른 젊었을적 삶의태도와 파울리나 생부의 비밀인데
가슴아픈 장면도 있었고 역시 모든 캐릭터가 진정한 악인은 없음을 보여주고
그들이 변하게 된 이유 또한 알수 있으니 시즌3 완결까지 정주행 해보길 바란다
끝으로 스페셜 번외편으로 <꽃들의 집 그녀의 장례식> 또한 시청하길 바란다
왜냐하면 나도 보지 못했기 때문에 리뷰를 함께 하지 못했다 포스팅 하면서 알게된 정보이며
이 글을 끝으로 얼른 남은 번외편 보러 가야겠다
아, 정말 마지막으로 이들은 시즌마다 집안 제일 큰 벽면에 가족초상화를 바꾸는데
초상화 컨셉이 특이하고 재밌기도 하지만 숨은 의미를 해석하는 재미도 있다 참고해보시길
'넷플릭스&왓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캔 유 히어 미?> 가볍게 봤다면 오산 (0) | 2020.11.14 |
---|---|
넷플릭스 추천 드라마 <스캄 프랑스> 스킨스가 그립다면! (0) | 2020.11.11 |
스웨덴 드라마 넷플릭스 <러브 앤 아나키> 로맨틱코미디 (0) | 2020.11.10 |
댓글